반응형

Technology issues/Tech_Trend 30

DuckDuckGo와 웹3 시대에서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탈중앙화 검색의 미래

오늘은 인터넷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대안적인 검색 엔진인 DuckDuckGo의 특장점과 기술적 배경을 소개하려 합니다. 특히, 사용자의 데이터를 추적하고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구글과 같은 대형 검색 엔진의 문제점을 부각하면서, DuckDuckGo에 관심을 갖게 합니다.  "당신의 디지털 발자국을 지우는 방법: DuckDuckGo" 우리는 매일 수십 번씩 검색창을 두드립니다. "오늘 날씨는?", "가까운 맛집", "주식 시세"... 하지만 이런 평범한 검색이 우리의 프라이버시를 위협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여기 구글과 네이버의 대안으로 떠오른 '오리'가 있습니다. 바로 DuckDuckGo(덕덕고)입니다.  오리의 반란: DuckDuckGo의 탄생2008년, 한 프로..

팹리스와 반도체 IP 제공자의 차이점 및 반도체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비교 #71

이번 글에서는 팹리스(Fabless) 반도체 회사와 IP(Intellectual Property) 제공자, 특히 ARM사와 같은 반도체 IP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과 운영 방식을 살펴보겠습니다. 흔히 반도체 산업은 제조사만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로 고부가 가치 산업은 어디에 있는지 벨류 체인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정리해 보려 합니다. 팹리스와 반도체 IP 제공자팹리스(Fabless) 반도체 회사와 IP(Intellectual Property) 제공자, 특히 ARM사와 같은 반도체 IP 회사는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들의 비즈니스 모델과 운영 방식은 다릅니다. 팹리스 회사들은 반도체 칩 설계에 집중하고, 제조를 파운드리(foundry)에 외주화 하는 반면, IP 제공자는 반..

리튬배터리 원리와 구성, 장점, 단점 및 안전한 관리에 대해 정리 #68

이번에는 리튬배터리의 원리와 장단점, 그리고 안전성과 관리에 대해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려 합니다. 이 글은 리튬배터리에 대한 설명 중 리튬이온과 리튬폴리머까지는 구분하지 않고 리튬배터리 전반에 대한 기본 원리와 장점과 단점 그리고, 안정성과 관련한 내용을 설명합니다. 리튬배터리리튬배터리는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장치로, 그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리튬배터리의 기본 원리리튬배터리는 양극(정극)과 음극(부극) 사이의 전해질을 통해 리튬 이온이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충전 시, 외부 전원을 통해 전자가 음극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리튬 이온도 전해질을 통해 음극으로 이동합니다. 방전 시에는 이 과정이 역으로 진행되어, 음극에 있던 리튬..

WWDC 2024: 애플의 공간 컴퓨팅과 AR 글래스에서 시작하는 또 하나의 세상 #65

이번 글에서는 2024년 WWDC에서 발표된 공간 컴퓨팅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 실생활에서의 적용 사례 등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공간 컴퓨팅 기술에 대해 이해하고, 이 기술이 앞으로 어떻게 우리 일상으로 접근하는지 생각해 봤으면 합니다.  공간 컴퓨팅(Spatial Computing)공간 컴퓨팅은 단순한 증강 현실(AR)이나 가상현실(VR)의 발전을 넘어,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정보를 자연스럽게 결합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에 디지털 정보를 통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단순히 화면 속의 정보가 아니라, 사용자가 실제로 있는 공간에 디지털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이고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

디지털 트윈 기술 의미와 개념 정리부터 적용 사례까지 #62

이번 글은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의 개념, 역사, 적용 사례 및 미래 전망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 일상에 미치는 영향과 잠재적인 문제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또한, 디지털 트윈이 다양한 산업과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디지털 트윈영화 '아이언맨'의 주인공 토니 스타크. 그가 실험실에 들어서면 눈앞에 홀로그램으로 펼쳐지는 가상의 작업 공간은 많은 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했습니다. 손동작 하나로 3D 설계도를 회전시키고, 확대하며, 심지어 부품을 가상으로 조립하는 모습은 그야말로 미래 기술의 결정체처럼 보였죠. "저런 기술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 한 번쯤은 해보셨을 겁니다.놀랍게도,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이미 현실이 되고 있다"입니다. 토니 ..

다음 맞춤법 검사기와 네이버 맞춤법 띄어쓰기 검사기 비교

글을 쓰다 보면 누구나 오타, 띄어쓰기 등 오류를 범하기 마련입니다. 전공자 또는 관련 업무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도 가끔은 실수를 하기 마련이죠. 이럴 때 최종적으로 검증을 해볼 수 있으면 편합니다. 다음(DAUM)과 네이버(NAVER)의 서비스를 이용해서 말이죠.다음 맞춤법 검사기 개인적으로는 글을 작성하고 나서 다음 맞춤법 검사기를 많이 써왔었는데요, 구글이나 다음 홈페이지에서 '맞춤법 검사기'로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PC 버전의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입니다. 한번에 총 1000자까지 입력하여 교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모바일 다음 앱을 통해 검색한 다음 맞춤법 검사기입니다.PC 버전과 다른 부분은 크게 2가지인데요, 우선 입력할 수 있는 글자수가 700자로..

미래 기술의 핵심과 주식 시장의 기회 (feat. 초전도체) #28

[목차] 작년부터 주식 시장에는 초전도체 관련 주의 열기가 뜨겁습니다. 물론 최근 며칠간 주가가 떨어지기는 했지만, 지난해 여름과 비교하면 초전도체 관련 주들은 상당히 상승했습니다. 오늘은 관련 주식 분석보다는 초전도체 자체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초전도체의 의미이따금 반도체와 헷갈려하시는 분이 계시던데, 초전도체는 저항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전기를 전달하는 물질이라고 합니다. 즉, '에너지 소모가 없는 상태의 물질'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초전도체의 핵심적인 특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초전도체 물질은 저항 없이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마이스너' 효과입니다. 즉, 초전도체 주변에 자석 같은 자성을 갖고 있는 물질이 있다면 초전도체는 이 물질을 밀어냅..

2024년까지 IoT의 변화, 딥러닝부터 스마트 홈까지 #17

[목차] 이번 글에서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IoT 기술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딥러닝이니 LLM이니 최첨단 기술로 조금은 예스러워진 IoT. 하지만, 이번 CES2024에서 국내 대기업 중심으로 IoT와 인공지능의 결합이 선보였습니다.IoT의 발전 과정2000년도 이전 컴퓨터 기술과 인터넷의 발전은 다양한 사물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초기 IoT 기술은 주로 산업 자동화와 공정 제어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개발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와 같은 기술들은 사물들이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IoT는 더욱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시기에 '사물 인..

현대 기술 세계에서의 중요성과 파이썬의 역할 #11

최근 인공지능이나 머신러닝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파이썬에 대해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뿐만 아니라 주식 관련 자동화 프로그래밍에 대해 관심 있는 분들도 아마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그래서, 궁금했습니다. 파이썬. 이 언어는 언제 탄생했고 또, 누가, 어떻게 개발하게 됐는지를 말이죠. 파이썬의 등장과 역할파이썬은 우리의 생각보다 오래전 (어쩌면 저 혼자일지도 모릅니다. 저는 불과 몇 해전에 파이썬이라는 언어를 접했으니까요...) 1991년에 탄생한 이후 급속하게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이 언어는 단순한 프로그래밍 언어 보다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기술 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핵심 목적은이 언어의 핵심은 사용하기 쉽고, 읽기 쉬우며,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때문에 파이썬..

메타버스의 특징과 잠재적 활용 #8

메타버스의 개념 메타버스(Metaverse)는 가상과 현실이 혼합된 공간으로, 현실 세계와 동일한 사회, 경제, 문화가 존재하는 것을 말합니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등 다양한 기술을 바탕으로 구축되며, 사용자는 아바타를 통해 메타버스 내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의 개념은 1992년 미국의 SF 작가 닐 스티븐슨이 발표한 소설 《스노 크래시》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스노 크래시》에서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와 구별되지 않을 만큼 사실적인 가상 세계로, 사람들은 아바타를 통해 이곳에서 일하고, 놀고, 교류합니다. 메타버스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그 잠재력은 매우 높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새로운 비즈니스 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