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ginx를 활용한 다중 도메인 운영은 웹 서버 관리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특히, 여러 개의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운영하면서도 효율적인 트래픽 관리와 보안을 유지하려면 최적의 방법일 수 있어요.
Nginx를 활용한 다중 도메인
웹 서버는 웹사이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게 응답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웹 서버로는 Apache와 Nginx가 있으며, 그중 Nginx(엔진엑스)는 비동기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를 채택하여 높은 성능과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반응형
Nginx의 주요 기능
- 웹 서버: 정적 파일(HTML, CSS, JS, 이미지 등)을 빠르게 서빙
- 리버스 프락시: 애플리케이션 서버(예: Node.js, Django 등) 앞단에서 요청을 중계
- 로드 밸런서: 여러 서버로 트래픽을 분산하여 부하를 최소화
- SSL/TLS 지원: HTTPS 트래픽을 쉽게 관리하고 보안 강화
Apache와 비교
- Apache: 멀티스레드 기반, 요청이 많아질수록 리소스 소모 증가
- Nginx: 비동기 이벤트 기반, 적은 리소스로 많은 요청을 처리 가능
Nginx의 장점으로 인해 최근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Apache보다 Nginx가 선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Nginx를 활용한 다중 도메인 운영 필요
루트 도메인과 서브도메인 개념
- 루트 도메인:
example.com
(최상위 도메인) - 서브도메인:
blog.example.com
,shop.example.com
등 (루트 도메인 기반 확장)
다중 도메인이 필요한 이유
- 서로 다른 서비스(예: 블로그, 쇼핑몰, API)를 분리 운영
- 보안과 성능 최적화를 위한 서버 분리
- 다양한 트래픽 관리 및 SEO 최적화
Nginx의 다중 도메인 설정 방법
Nginx에서는 server블록을 활용하여 루트 도메인과 서브도메인을 동시에 운영할 수 있습니다.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example.com;
root /var/www/html;
index index.html index.php;
}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blog.example.com;
root /var/www/blog;
index index.html index.php;
}
server_name
을 기반으로 요청된 도메인에 맞는 서버 블록을 선택하여 처리- 각 서브도메인마다 별도 디렉터리를 지정하여 분리 운영 가능
다중 도메인 시 고려해야 할 요소
- DNS 설정 및 한계
- 도메인 등록기관에서 서브도메인을 추가하는 방법 필요
- AWS Lightsail과 같은 일부 서비스는 도메인당 무료 쿼리 제한 존재
- 서버 성능과 리소스 관리
- 서브도메인이 많아질수록 서버 부하 증가
- 트래픽이 많은 경우 로드 밸런서 도입 고려
- SSL 인증서 적용 및 제한 사항
- Let's Encrypt와 같은 무료 인증서는 주당 발급 개수 제한
- 와일드카드 인증서(
*.example.com
)를 활용하면 서브도메인마다 별도 설정 불필요
- 보안 문제 및 유지보수 전략
- 도메인별 접속 권한 및 보안 정책 관리 필요
- 로그 모니터링 및 자동화 도구 활용 추천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최적화
로드 밸런싱을 활용한 트래픽 관리
upstream
설정을 통해 여러 서버로 트래픽 분산 가능
upstream backend {
server app1.example.com;
server app2.example.com;
}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api.example.com;
location / {
proxy_pass http://backend;
}
}
캐싱과 정적 파일 서빙 최적화
expires
설정을 활용하여 정적 파일 캐싱
location /static/ {
root /var/www/html;
expires 30d;
}
보안 및 인증서 갱신 자동화
certbot
을 활용한 자동 SSL 갱신 설정 필수
반응형